https://s3-us-west-2.amazonaws.com/secure.notion-static.com/a30ad060-a6be-4977-86b3-194926808876/_108843244_gettyimages-486775835.jpg

제멜바이스는 병균이 알려지기 전 시대에 손을 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

아픈 이를 병원에 데려가는 게 최선책은 아니던 시절이 있었다.

19세기 이야기다. 이때는 병원이 감염의 온상이었고, 오직 죽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근원적인 치료만 제공하는 곳이었다.

당시엔 집에서 치료받는 게 훨씬 안전했다. 병원의 사망률은 집보다 서너 배씩 높았다.

죽음의 집

소변과 토사물, 여러 체액으로 가득한 병원.

당시 병원은 냄새가 어찌나 지독한지, 근무자들이 손수건으로 코를 막고 다녀야 할 정도였단다.

그때는 의사들은 손이나 수술 도구를 잘 씻지 않았다. 수술실 역시 그 안에서 일하는 외과의사만큼이나 더러웠다.

병원이 "죽음의 집"이라고 불린 이유다.

1975년 미국 토마스 이킨스가 그린 '그로스 클리닉'. 위생적인 수술 환경을 도입하기 전의 모습을 보여준다

이 시기에는 세균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었다. 이런 상황에서 한 남자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과학을 활용하려 했다.

헝가리 출신의 의사, 이그나스 제멜바이스였다.

그는 1840년대 비엔나에 있는 산부인과 병동에서 손 씻기로 사망률을 낮추려고 노력했다.

가치있는 일이었지만 동료들은 그를 악마로 취급했다. 그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.

하지만 결국 그는 "산모들의 구세주"로 남게 됐다.

세균에 무지한 시대